본문 바로가기

심리와 건강

스마트폰 중독, 스몸비 질환 오늘은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물건이죠. 스마트폰에 대해서 특히, 그중에서도 스마트폰 중독이 얼마나 위험한지 함께 보도록 할게요. 순서는 -스마트폰 중독 -스몸비 질환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1. 스마트폰 중독 (1) 정의 말 그대로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몰입해 통제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해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은 이 물건을 통해서 정보도 얻고, SNS로 대인관계 맺기도 해요. 그런데, 문제는 잘 사용하면 순기능이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면 길을 걸으며 스마트폰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일명 스몸비족은 스마트폰 중독일 가능성이 높아요. (2) 스몸비란? 스마트폰과 좀비를 합성한 언어로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길을 걷는 사람을 말해요. (3) 스마트폰으로 인한 사고 스마.. 더보기
조현병 양성증상 저번 시간에 이은 조현병 양성증상에 대해서 이야기해도록 할게요. 순서는 -조현병 양성증상 -조현병 양성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대처하는 방법 -조현병의 진단기준 -조현병 경과의 특징 -조현병 환자들을 대할 때, 가족들이 알아야 할 유의사항 1. 조현병 양성증상 음성증상과 다르게 양성증상은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져 보이는 경우인데요. 망상 또는 피해망상, 환각, 환청, 와해된 언어나 행동(빈번한 주제 이탈, 지리멸렬증상) 여기서 지리멸렬이란 횡설수설한 말과 같아요. 보통 사람에게는 전혀 나타나기 어렵고, 조현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만 나타나요. 비정상적인 행동, 사고를 보이며 왜곡된 과도한 반응을 보이는 경우를 말해요. -망상 관계, 피해, 과대, 색정, 신체 망상 등이 있어요. 망상은 잘못된 생각과 신념등으.. 더보기
조현병 음성증상이란 오늘은 저번에 조현병 초기증상에 이어서 음성증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순서는 -조현병 음성증상 -조현병 음성증상 치료방법 1. 조현병 음성증상 조현병 음성증상을 보이는 경우, 가족들은 사춘기 청소년 행동이 그럴 수도 있지 하며 대수롭지 않게 넘기면서 초기에 발견하지 못해 대처하지 않으므로 증상악화로 이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음성증상의 특징은, 주변 환경, 변화에 전혀 관심이 없으며 반응이 없는 증상이 특징이에요. 문제 해결에 관심도 없고 원하지 않는 것처럼 무기력해보여요.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가족들은 무엇을 해도, 효과가 전혀 없을 게 분명하다며 부정적인 믿음이 생기기도 해요. 감정이나, 생각의 변화에도 둔감하며 기능 손상과 결핍이 된 것으로 보이며, 얼굴 표정에도 변화가 .. 더보기
part 2. 작은 습관 실천 전략 저번시간에 이어서 변화로 가는 4단계~8단계 스텝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해보며, 내가 정하고 싶은 작은습관은 무엇인지도 이야기할게요. 순서는 -작은 습관 실천 전략 -작은 습관을 위한 체크 항목 1. 작은 습관 실천 전략 (1) 4단계 : 보상계획 세우기 뇌와 또 연관이 없다고 볼 수 없는데요. 뇌에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대부분 중독에 위험이 따라요. 뇌에 보상을 내리는 것 중에 웃음이 있다는 것을 아나요? 웃으면 기분을 좋게 하는 물질이 분비돼요. 작은 습관을 성공할 때마다 나에게 스티커를 주어서, 내가 이뤄낸 성과를 보여주는 증거로 삼아줘요. 그러면 이것을 본 나의 뇌는 기분이 저절로 좋아지게 되요. 내가 하고 있는 일이 무엇이건 그 일을 했던 것을 돌아보면서 스스로 자랑스럽게 여기라는 것이에요. 거기.. 더보기
part 1. 작은 습관 실천 전략 습관에 대한 이야기 2번째 시간인데요. 작은 습관을 그러면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할게요. 순서는 -거부감을 넘는다 -작은 습관은 작지만 위대하다고? -변화로 가는 8가지 스텝 1. 거부감을 넘는다 거부감엔 두 가지가 있다고 해요. 하나는, 정신적 거부감 또 하나는 신체적 거부감이 그것인데요. 동기만으로 이 막대하고 무시무시한 거부감을 이길 수는 없어요. 그러나, 그거 아세요? 의지력도 그렇게 너끈히 이 거부감을 이길 수는 없어요. 계획을 잘 이용해야 효과가 좋아요. 한마디로, 의지력을 잘 관리하란 말인 거죠. 작은 습관을 운동에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상황 1 : 운동할 기운은 있고, 하기는 싫다 (정신적 장애물) 의지력만을 보고 이야기를 한다면, 팔굽혀펴기 한 번.. 더보기
습관을 지배하는 방법 오늘은 나의 악질과도 같은 나쁜 습관에 대해서 생각하다가 반대로 좋은 습관을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는지 궁금해서 작성하였습니다. 순서는 -뇌와 습관의 연관성 -습관을 완성시키는 방법 : 의지력 -작은 습관의 힘은? -우리의 뇌는 변화를 싫어한다? 1. 뇌와 습관의 연관성 (1) 반복과 보상 갑자기 습관과 뇌는 무슨 연관이 있는 가? 그렇지만, 뇌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것이에요. 습관을 형성되기까지, 목표한 바를 반복해서 행동한다면 뇌의 변화가 시작되요. 그러나, 여기서 간과하지 않을 것은 뇌는 보상을 반드시 따라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변화에 대해서 강하게 저항을 하기 때문이에요. 결론은 반복된 행동과 그에 따른 보상이 있다면, 뇌는 기꺼이 변화에 따라가요. 꾸준히 반복하면 작아보이는 변화도 나의 삶에 커.. 더보기
뼈 꺾는 소리를 자주 내면? 좋지 못한 습관으로 자주 뼈를 꺾는소리를 내는 경향이 있어요. 손가락 마디 꺾기, 손목꺾기, 발목 꺾기, 목 꺾기 등이 있어요. 오늘은 뼈꺾는 소리를 내는 게 몸에 과연 좋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겨 시작하는 글입니다. 순서는 -뼈 꺾는 소리 어떻게 나는 걸까? -뼈 꺾는 소리 계속하면 안 좋을까? -지속적으로 뼈 꺾는 행동을 하면 어떻게 될까? -뼈 꺾는 행동이 시원한 이유? -뻐끈한 목에서 두둑 나는 소리? -소리를 내려는 이유? 1. 뼈 꺾는소리 어떻게 나는 걸까? 손목, 손가락, 발목, 목 등 몸의 신체부위를 꺾으면 소리가 나는 이유는 관절 사이사이의 공기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라고 해요. 관절을 보호하는 막이 늘어나거나, 확대되는데.. 압력이 낮아지는 과정에서 관절액 사이에 녹아있는 가스가 공기방울을.. 더보기
가수 선미가 겪은 경계선 인격장애란? 예전에 가수 '선미'가 자신이 이 질환을 앓았다고 해서 화제였는데요. 오늘은 가수 '선미'가 앓았던 경계선 인격장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서는 -경계선 인격장애란 -경계선 인격장애 증상 -경계선 인격장애 원인 -경계선 인격장애 진단기준 -경계선 인격장애 치료방법 1. 경계선 인격장애란? 자기상, 정서, 대인관계가 매우 불안정하며 감정의 기복이 매우 심한 인격장애를 의미해요. 권태감, 공허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자제력이 부족해요. 불안정한 인간관계 형성, 매우 충동적인 행동을 보여요. 환자 감정이 정상에서부터 우울, 분노의 극단을 오가며, 매우 기복이 심해요. 행동은 폭발적, 예측불가능하며, 낭비, 도벽, 도박, 자해, 자살 시도, 약물남용 등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아요.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보기